https://github.com/DV8FromTheWorld/JDA
자바 디스코드봇을 만드는 모든 정보는 위에 있다.
개발환경
OS : windows
Java : 1.8
IDE : Spring Tool Suit ( spring을 안써도 되니 eclipse로 해도 괜찮을 것 같다 )
gradle 프로젝트 생성
maven과 gradle 중 골라서 진행하면 되는데 (jar 다운받기도 가능)
나는 좀 더 최신식(?)의 gradle로 진행해보겠다.
gradle 프로젝트 생성
프로젝트명은 각자 원하는 봇으로 만들면 된다.
build.gradle 세팅
https://github.com/DV8FromTheWorld/JDA/releases/tag/v4.3.0
repo에 있는 gradle 코드를 가져오자
각각 위치에 코드를 추가해준다.
저장 후 refresh를 한번 해주자.
기본 Listener Adapter 코드
먼저 소스폴더 안에 main을 하나 만들어 주고
repo 에서 제공해주는 기본 코드를 가져오도록 하자
자 이제 우리 디스코드 봇과 연결 해줄 token을 가지러 가야한다.
Discord Bot 만들기
https://discord.com/developers/docs/intro
이 곳에서 만들 수 있다.
로그인하면
왼쪽 바에서 Applications를 클릭 우측 상단 New Application 클릭 해준다.
우리 봇의 이름을 적어주면 된다.
왼쪽 Bot 클릭 - 우측 상단 Add Bot 클릭
야생의 봇이 나타났다!
ICON을 눌러 봇의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.
그 다음 OAuth2에 들어가서
scopes에서 bot 체크
아래 권한에서 필요한 권한을 체크하면 된다.
그럼 bot체크 한 곳 아래 링크가 생성되는데
링크로 들어가 자신의 채널에 봇을 추가하면 된다.
봇 추가 완료
아직 봇을 실행하진 않아서 오프라인 상태이다.
다시 돌아와
bot 에서 Token copy를 해주자
copy한 token을 아까 "token"에 붙여넣는다.
온라인으로 바꾸기
꺼져있는 우리 봇에 생명을 넣어보자
저 코드 한줄만 추가해주고 실행하면
정상 실행했다는 로그와 함께
우리 봇이 온라인이 되게 된다.
'개발 이모저모 > 이모저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C2 서버 DISK USED 해결 (log 제거) (0) | 2022.05.02 |
---|---|
Slack API를 통해 하이퍼링크 메세지 보내기 (0) | 2022.03.07 |
2021년 Top 5 개발 트렌드 (1) | 2021.10.06 |
오픈소스 라이선스 검증 이해하기 (0) | 2021.04.15 |
오픈소스 커미터 (0) | 2021.04.12 |